
'육체적 경험에서 기인하는 통증'과 '개인적 위기에서 기인하는 통증' 모두를 다루어야 한다고 확신한다. 안티고나 파제트의 경우 적합한 치료법을 찾으려면 만성통증과 자유를 향한 투쟁이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 즉 그녀의 질병 서사 전체를 관통하는 주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파제트 부인의 경우, 심리치료와 더불어 유산의 아픔을 애도하고 그녀가 결혼생활에 대한 선택을 주저하는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상담이 함께 이뤄져야 할 것이다.
질환은 우리의 신체를 생물의학이라는 특정한 이론적 관점에서만 관찰한다. 반면 질병은 질환과 함께 살아가는 경험이자 환자와 그 가족, 더 넓게는 사회가 환자의 증상과 장애를 어떻게 인지하며, 어떻게 이에 대응하며 살아가는지를 나타낸다.
사회가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신경쇠약을 비롯한 기타 질병들은 종교적 범주를 벗어나 오늘날 대주오가 전문 의료진 모두가 '스트레스'라고 부르는 개념으로 대체되기 시작했다. 이후 미국과 유럽 사회에서는 신경쇠약의 신체적 증상보다 심리적 증상이 더 많이 나타났으며 심리적 고통을 해석하려는 움직임이 시작되었다.
하지만 치료는 의사의 대처에서 시작되는 게 아니다. 질변에 대한 환자의 이야기에서 시작된다. 그런데 의사들은 생물학적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 환자들의 이야기를 듣는다고 주장한다.
'육체적 경험에서 기인하는 통증'과 '개인적 위기에서 기인하는 통증' 모두를 다루어야 한다고 확신한다. 안티고나 파제트의 경우 적합한 치료법을 찾으려면 만성통증과 자유를 향한 투쟁이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 즉 그녀의 질병 서사 전체를 관통하는 주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파제트 부인의 경우, 심리치료와 더불어 유산의 아픔을 애도하고 그녀가 결혼생활에 대한 선택을 주저하는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상담이 함께 이뤄져야 할 것이다.
질환은 우리의 신체를 생물의학이라는 특정한 이론적 관점에서만 관찰한다. 반면 질병은 질환과 함께 살아가는 경험이자 환자와 그 가족, 더 넓게는 사회가 환자의 증상과 장애를 어떻게 인지하며, 어떻게 이에 대응하며 살아가는지를 나타낸다.
사회가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신경쇠약을 비롯한 기타 질병들은 종교적 범주를 벗어나 오늘날 대주오가 전문 의료진 모두가 '스트레스'라고 부르는 개념으로 대체되기 시작했다. 이후 미국과 유럽 사회에서는 신경쇠약의 신체적 증상보다 심리적 증상이 더 많이 나타났으며 심리적 고통을 해석하려는 움직임이 시작되었다.
하지만 치료는 의사의 대처에서 시작되는 게 아니다. 질변에 대한 환자의 이야기에서 시작된다. 그런데 의사들은 생물학적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 환자들의 이야기를 듣는다고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