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하는 몸을 구하라> 팟캐스트


저자들의 이야기로 책이 생생하게 살아난다!😃

📘<우리는 모두 몸으로 일한다> 제작 초반부터, 이 책은 텍스트 중심이 아닌, 

이미지와 영상이 함께 어우러진 ‘시각 디자인’ 작품이 되어야 한다는 생각이 있었습니다.

딱딱한 텍스트 너머 💃몸을 살리는 지식과 영감이 더욱 풍성하게 전해질 수 있도록, 

저자들이 촬영부터 편집까지😲 직접 제작한 팟캐스트를 공개합니다.



느낌이 올해 당신의 슈퍼파워가 되기를💓

몸의 느낌은 즐겁고 지속가능한 삶으로 이끄는 단서다!


🤓생각과 지식을 논하는 건 쉽지만

느낌과 감정을 알아차리고 나누는 연습이 그간 부족했다면?🙄

🧐일상과 일터에서 놓치고 있던 중요한 정보로서 ‘느낌’을 들여다보고 활용하는 게 필요한 때!


💁‍♀️’우몸일’ 책 MOVEMENT 챕터 p.190~193 과 함께 보세요.


일터에 놀이가 필요한 이유

🤔 쑥쑥 성장하고 싶은데. 배움도, 창의력도, 회복탄력성도 높이고 싶은데. 도대체 우리 조직은, 우리 관계는 무엇을 놓치고 있는 걸까? 

🤲 새해에 가장 투자하고 싶은 역량이 있다면? 


💁‍♀️이 질문에 대한 답은 같습니다. 바로 진정한 의미로서 ‘놀이’, 혹은 ‘놀이력(playfulness)’. 


📘 책 ‘우리는 모두 몸으로 일한다’ 194쪽에서 언급한 ‘놀이’의 신경과학적 정의를 바탕으로 


🎭 고정된 성공도, 실패도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가능성 탐색의 세계, ‘놀이’의 관점이 어떻게 일과 삶의 중요한 마인드셋이 되는지, 

💪 진짜 중요한 것(=시행착오 속에서 계속 성장해 왔고 앞으로도 그럴 가능성이 넘치는 나, 당신, 우리)을 놓치지 않음으로써 유쾌하게 목표를 향해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지 얘기합니다.  


부디 놀이 가득한 연휴 되세요🙏💕 


p.s. 😲 사실 책 첫 장(p.2) ‘책의 지도’에서 부터 “다양하게 실험하는 기쁨, 이를 통해 삶의 자원과 선택지를 늘려가는 관점”으로써 ‘놀이’를 정의하고 삶을 지탱하는 주요 축으로 소개한 거, 알고 계셨나요?


생산적인 하루? 다시 정의하다

🎬 올해 공개하는 첫 영상은 ‘생산성의 재정의’에 관한 클립입니다.


😵 우리 몸을 억압하는 ‘거짓된 생산성의 허상’을 깨고,  🎶 생물학적 리듬에 따라 진정으로 충분한 하루를 보내는 일과 시스템(일명 '3-3-3 플랜')을 도입해 보세요! 


💁‍♀️책 '우리는 모두 몸으로 일한다' FOCUS 챕터 p.84~95 과 함께 시청해 보세요.